언론보도
한국광기술원(원장 신용진)은 세계 최초로 '자동전환 하이브리드 열전 냉각 기술'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.
열전 냉각 시스템은 내부 온도 변화에 따라 자연대류 기반의 수동 모드와 펠티어 소자 및 팬을 활용한 능동 모드로 전환된다.
연구팀이 개발한 열전 냉각 기술은 열 부하 조건에 따라 수동·능동 냉각 모드를 자동 전환한다. 기존 대비 에너지 효율과
냉각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. 소비전력 74.4% 절감, 열저항 50% 개선, 성능지표(COP) 1.81배 향상 등 탁월한 성능을 입증했다.
연구팀은 고집적 발광다이오드(LED) 모듈, 전기차 배터리, 고열 발생 정밀 센서 등 고신뢰 열관리 분야에 활용하는 등
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이윤철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장, 박창주 박사, 강유림 1저자, 이상훈 국립한밭대 교수, 박양규 전남대 교수가 연구를 주도한
이번 연구는 국제공학저널 '리절츠 인 엔지니어링'에 논문으로 게재돼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.
박창주 박사는 “이번에 개발된 열전 냉각 기술은 단순한 냉각 성능 향상을 넘어, 에너지 효율성과 소자의 신뢰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기술”이라며
“향후 미래 모빌리티, 반도체, 가전 등 실용화 수요가 높은 산업 현장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”이라고 말했다.
2025.07.10
09
2025.07
[공지사항]
08
2025.07
07
2025.07
[공지사항]
27
2024-06
[입찰정보]
25
2024-06
21
2024-06
03
2025.07
[채용정보]
24
2025.06
[채용정보]
23
2025.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