언론보도
안녕하십니까. 한국광기술원의 발전을 위해 항상 관심과 성원을 보내주시는 점에 대하여 감사를 드립니다. 한국광기술원은 광(光)융합 관련 전문생산기술연구소로서 국내 광융합 산업 발전의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 |
광융합기술 기반 실감증강현실 시장 활성화를 위한 XR광융합기업협의체 출범
|
□ 한국광기술원(원장 신용진)은 15일 안양 한국광기술원 경기광융합기술 센터에서 경기권역 XR광융합산업의 발전을 위한 「XR광융합기업협의체」의 출범식을 가졌다. 이 자리에는 강득구 국회의원을 비롯해 안양시 의원, 경기도와 안양시 지자체 관계자 및 XR산업과 광융합산업 분야의 기업체 대표 등 40여 명이 함께했다.
□ XR광융합기업협의체(이하 “협의체”)는 한국광기술원이 수행하는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(XR전방산업 선도형 핵심광학부품·모듈 시험 제작 서비스 지원)의 일환으로서, 경기광융합기업협의회(회장 김장선)의 분과 형태로 출범하여 안양시 및 경기도 내 XR광학·디바이스 및 광융합산업 관련 기업 간 상호협력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산·학·연·관의 산업 거버넌스 활동을 추진한다.
□ 협의체 운영의 주요 의제는 ①협의체 기업 간 정보공유, ②범부처 사업기획/수주 활동, ③전문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, ④경기광융합기업협의회 연계 활동 등이다.
□ 또한, 기업 간의 실효적인 소통과 연계 협력 강화를 위하여 분기별 1회 정기모임을 실시하고, XR광융합 관련 기술·시장 동향, 정부R&D 사업, 공동사업 제안 등의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.
□ 애플·메타·마이크로소프트(MS) 등에서 개발 중인 증강현실(AR)글래스로 대표되는 확장현실 장비(XR 디바이스) 시장은 연평균 48.3%의 높은 글로벌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, 2030년에는 약 2,000억 달러 수준의 글로벌 시장 규모를 이룰 것이라 전망된다.
□ 이는 향후 10년 이내에 스마트폰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먹거리 핵심 산업이나, 대부분의 소자본 기업은 기술개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기반이 없기에 산업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.
□ 이에 한국광기술원은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구축될 ‘XR 광학 거점센터’(이하 “센터”)를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하고, 협력 지자체인 경기도와 안양시와 함께 XR광융합 관련 중소기업의 국내·외 XR시장 진입을 위한 기술적, 행·재정적 지원을 시행한다.
□ 센터는 XR기기의 핵심 부품인 광학계 및 일반 광학 제품의 시험제작품 생산을 위한 장비를 구축하고, 기술개발, 기술 애로 상담,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한 외부 실증센터와 연계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.
□ 협의체의 출범을 계기로 안양시 및 경기도 내 참여기업은 광융합산업과 관련한 유사 동종분야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구축, 산업 거버넌스를 통한 관련분야의 정보 획득, 전문연구기관을 통한 기술 애로 상담 및 기술력 제고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실효적인 혜택을 지원받을 전망이다.
□ 신용진 한국광기술원장은 “XR광융합기업협의체 출범은 세계 최고 수준의 광융합 기술력을 지닌 공동연구 기관들의 전문성을 기반으로, XR광융합산업의 허리를 담당하는 중소벤처기업의 활동력 제고와 함께 능동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.”라며, “협의체는 향후 글로벌 광융합시장 선도를 위한 대표적인 산업 거버넌스의 성공 모델이 되리라 확신한다.”라고 밝혔다.
2023.05.16
07
2023.06
09
2023.05
08
2023.05
[공지사항]
08
2023-06
07
2023-06
[입찰정보]
31
2023-05
03
2023.05
[채용정보]
24
2023.04
[채용정보]
06
2023.02
[채용정보]